본문 바로가기
잡학다식/잡학

FPS, AOS, RPG는 어떤 게임을 말하는 것일까?

by greentworkshop 2025. 3. 15.

FPS장르의 대표적인 예

게임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자주 듣는 단어지만

생각보다 그 뜻을 정확하게 알고 플레이 하는 사람들은 많지 않다.

몰라도 별 지장은 없지만, 이왕 들어온거 같이 다양한 게임 장르들을 낱낱히 알아보도록 하자


1. FPS(First-person-shooter) 

FPS의 조상격인 DOOM의 게임화면

일반적인 총게임 앞에 들어가는 FPS는 플레이어의 시점을 뜻하는 단어이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shooter가 들어갔다고 해서 꼭 총게임이 FPS장르가 된다는 의미가 아니라는 것이다.

'총을 쏘는 사람(일반적으로 주인공)의 시점으로 플레이 하는 모든 게임'이 올바른 이해다.

대표적인 게임으로는 doom, 카운터스트라이크, 레식, 서든... 같은 종류가 있다.

 

추가적으로 FPS게임에 가끔 FPP, TPP라는 버튼이 보이는데 이는 게임의 시점을 전환하는 버튼이다.

FPP(First-Person Point: 1인칭 시점), TPP(Third-Person Point: 3인칭 시점)으로 이해하면 된다.

 

다른 FPS(Frame Per Second) 

초당 프레임율 = 1초에 보여줄수 있는 정지 사진들의 수

동영상 = 연속된 정지 사진들의 모음, 각각의 정지 사진(프레임)


2. TPS(Third-person-shooter)

AI이미지 생성으로 만든 사진

FPS와 함께 총게임에 자주 등장하는 단어인 반면 인지도는 그에 비하면 터무니 없이 낮은 편이다.

TPS역시 FPS와 유사하게 플레이어의 시점을 뜻하는 단어다.

FPS가 주인공의 시점이었다면 FPS는 주인공을 지켜보는 관찰자의 시점이랄까

주인공을 촬영하는 드론의 시점으로 게임을 플레이 한다는 정도로 이해하면 좋다.

주인공을 다른이의 시점으로 플레이 하는 모든 게임들의 총칭

대표적인 게임으로는 배그, 바이오 하자드...와 같은 게임들이 있다.

 


3. RPG (Role-Playing-Game)

보통 자신의 캐릭터를 성장시키거나, 오래 하는 게임...정도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정확한 의미는 플레이어가 일정한 역할을 수행하는 모든 게임을 뜻한다.

어렸을적 하던 소꿉놀이, 병원놀이, 전쟁놀이도 넓은 범주에서 보면 RPG의 일종인 셈이다.

대표적인 게임으로는 리니지, 메이플 스토리, wow...와 같은 게임들이 있다.

 

참고 : RPG게임의 기원은 TRPG(Table-Role-Playing-Game)이다.


4. MMORPG(Massive-Multiplayer-Online-Role-Playing-Game)

직역하면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이라는 뜻

RPG라는 글자 앞의 MMO(Massive-Multiplayer-Online)라는 단어가 눈에 띈다.

RPG와 유사하지만 전 세계 수많은 사람들과 동시에 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차별점이다. 

대표적인 게임으로는 WOW, 메이플스토리... 가 있다.

 

여기서 하나 덧붙이자면 M자가 하나 덜 들어간 MORPG라는 장르도 있는데

이는 다양한 사람들과 동시에 플레이 할 수 있다는 점에서 MMORPG와 동일하지만

그 인원 수가 (많게는 4~5정도로) 제한적이라는 부분이 MMORPG와 다른점이다.


 

5. AOS(Aeon Of Strife)  =  RPG + RTS

프로토스 사이에서 벌어진 대규모 내전을 지칭하는 표현 (게임 스타크래프트의 배경)

직역하면 '끝없는 투쟁', 다른 단어들과는 다르게 게임의 스토리가 하나의 장르로 자리잡았다.

(이를 통해 스타크래프트가 게임게에 미친 영향이 대단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요즘은 롤의 복사판으로 모바일에 출시된 게임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단어이다.

플레이어가 하나의 캐릭터를 선택하고 정해진 맵에서 레벨과 스킬을 올리고

상대방의 진영을 파괴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인 실시간 전략/전술 공성 게임 장르이다.

RPG게임과 RTS게임이 합쳐진 장르 정도로 이해하면 편하다

대표적인 게임으로는 LOL, BangBang...

 

스타크래프트의 유즈맵을 통해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진 장르

외국에서는 이런 표현보다 MOBA(Multiplayer online battle arena)는 표현을 더 자주 사용한다.

 


6. CCG(Collectible Card Game)

'수집용 카드 게임'의 약자

보통 카드, 전략게임으로 분류되며 수집한 카드로 상대방과 대결하는

전략적인 요소도 함께 포함하고 있는 게임이 많다. 

대표적인 게임으로는 하스스톤, 포켓몬 카드게임, 레전드 오브 룬테라...등이 있다.

 

 

추가적으로 이와 유사한 게임 장르로는 TCG (Trading Card Game)가 있다.

서로 카드를 교환하고 덱을 구성할 수 있는 게임 장르 (Fifa, 유희왕...)

 

 


7. RTS(Real-Time-Strategy) 

직역하자면 '실시간 전략 게임'이라는 의미다.

게임 상의 모든 요소를 활용해 상대방을 패배시키는 게임장르이다.

가장 대표적인 게임으로는 스타크래프트, 듄,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가 있다.

 

이와 유사한 장르로는 TBS(Turn-Based Strategy) '턴 기반 전략게임' 이 있다.

 

기타 게임 장르

SNG (Social Network Game): 아이러브 커피, 애니팡... 

소셜 네트워크와 연결된 게임

TCG (Trading Card Game): Fifa, 유희왕...

서로 카드를 교환하고 덱을 구성할 수 있는 게임

Arcade : 갤러그, 보글보글...

예전 오락실에서 즐기던 게임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