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omputing25

AndroidStudio 알아보기 Android Studio에서 app/ 하위 폴더에 있는 manifests, kotlin+java, res 폴더는 각각 다음을 의미합니다.1️⃣ manifests/ 폴더이 폴더에는 AndroidManifest.xml 파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앱의 구성 정보(권한, 액티비티, 서비스 등)가 정의됨주요 설정: 패키지 이름, 권한 요청, 앱의 진입점(Launcher Activity)✅ 예시 (AndroidManifest.xml) 📌 activity, service, permission 등의 설정이 포함됨. 2️⃣ kotlin+java/ 폴더이 폴더에는 앱.. 2025. 3. 20.
20250318_OS3 프로세스의 개념일괄 작업 방식(일단 하나 먼저 끝냄)시분할 방식(멀티태스킹) 운영체제의  기능프로세스 관리프로세스 등록프로세스 소멸프로세스 상태 정의와 전이문맥교환 및 스케쥴링인터럽트 처리메모리 관리파일시스템 관리장치 관리네트워크 관리IPC프로세스의 개념프로그램(Program)저장장치에 저장된 정적 소프트웨어프로세스(Process, task, job)실행을 위해 메모리에 올라온 동적인 상태PCB를 할당 받아 메모리에 로드됨(CPU가 주기적으로 처리함)프로세서(Processor)CPU와 같은 말PCB란?PCB(Process Control Block)프로그램이 프로세스로 전환될때 운영체제가 만드는 작업지시서운영체제가 각 프로세스를 관리하기 위해 정의한 자료구조PCB의 정보프로세스구분자(PID: Process.. 2025. 3. 18.
PCB(Process Control Block)의 기능, 특징 1. 포인터일상생활 비유:가게에서 물건을 사려고 했는데, 그 물건이 창고에 있다고 적혀 있는 위치가 있다면, 그 위치를 **'주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가게는 그 위치를 확인하고 물건을 가져올 수 있죠.PCB와의 연관성:프로세스도 마찬가지입니다. 포인터는 프로세스 제어블록(PCB)에서 다른 프로세스나 관련 정보를 가리키는 "주소"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대기 상태에 있는 프로세스들끼리 연결리스트로 연결되기 위해 포인터가 사용됩니다. 이 포인터는 프로세스들이 다음에 해야 할 작업이 무엇인지 추적하거나, 다른 프로세스와 연결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2. 프로세스 상태일상생활 비유:직장에서 회의 중, 작업 중, 점심시간 중처럼 사람이 어떤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사람은 상태에 따라 해야.. 2025. 3. 18.
20250317_DB2 CREATE TABLE table_name( column1 datatype UNIQUE, column2 datatype UNIQUE, column3 datatype, …);새로운DB, Query를 생성하는 명령어를 제외하고는 선택된 DB내에서 명령이 수행된다.추가됨코드가 반영되어 manner_point값이 1100으로 증가 여기까지가 복습인덱스테이블에는 값이 저장된 순서로 나열됨반면INDEX는 필요한 값을 묶어둠 = 정렬(참조속도 증가 = 검색성능 ↑↑ )물리적인 디스크 차지(가상X) 질문1. 근데 INDEX도 데이터 다 뒤져봐야하는거 아닌가질문2. TABLE에서 찾는게 더 빠른 경우도 있지 않을까질문3.   질문 1. 인덱스도 결국 데이터를 다 뒤져봐야 할 수도 있는 게 아닌가? 최악의 경우에 테이블.. 2025. 3. 17.
명언 잠금화면 앱 개발_기획서 정리중...앱 개발을 위한 주요 절차 및 조언1. 기능 정의앱에서 구현할 주요 기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명언을 작가 및 주제별로 분류하여 저장사용자 맞춤 추천 (좋아하는 작가, 주제, 즐겨찾기한 명언 기반)좋아요 및 즐겨찾기 기능잠금화면에서 명언 표시명언 공유 기능 (SNS, 클립보드 복사 등)다크 모드 지원 (UI 개선)2. 데이터베이스 설계명언을 저장하고 분류하려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 예: SQLite, Room DB)나 NoSQL 데이터베이스(Firebase Firestore)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1) SQLite (Room DB) 모델 예시sql복사편집CREATE TABLE Quote ( id INTEGER PRIMARY KEY AUTOINCREMENT, content T.. 2025. 3. 16.
20250310_DB1 데이터베이스의 등장 배경 •각 응용 프로그램이 독립적으로 파일을 다루기 때문에 데이터가 중복 저장될 가능성이 있음 (중복성)•응용 프로그램별로 필요한 데이터를 별도의 파일로 관리함 (종속성)•동시에 파일을 다루기 때문에 데이터의 일관성이 훼손될 수 있음SQL(Structured Quarry Language)구조화된 쿼리 언어 DBMS  데이터를 가진 쪽을 서버(server), 외부에서 데이터 요청하는 쪽을 클라이언트(client)DB용어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 Relational Data Base..):여러 개의 테이블이 특정 관계로 이루어져 있는 구조를 가진 데이터 베이스엔티티사람, 장소, 사물, 사건 등과 같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면서 고유하게 식별이 가능한 실세계의 개체 (실존하는 개체의 정보)엔티티.. 2025. 3. 10.